함수는 인자와 리턴 값으로 통신하고
메모리의 컨텍스트를 유지하려면 함수간에 컨텍스트를 리턴으로 받고 인자로 주는 것을 반복해줘야 함.
좋은 개발자가 희귀한 이유는?
미묘함을 자세히 이해하는 사람이 적기 때문. 책임과 역할.
이들은 컨텍스트 변화, 역할의 변화, 책임의 변화가 커도 파악을 해내고
프로그래밍을 한국어처럼 표현할 수 있음.
=> 나는 그러한가?
lexical enviroment : 변수 저장 공간, 어휘
함수 간에 인자를 전달하면서 lexical enviroment 가 생기게 되고 이는 일반 변수들의 lexical env 와 다르다(그 함수들만의 공간임)
this를 찍으면 위에서 얘기한 lexical env 의 메모리 공간 데이터를 지정해 사용할 수 있음.
메소드 내에서 지역변수나 인자만 사용하고 this 를 사용하지 않으면 유틸리티 메소드라고 생각할 수 있음. this 가 사용되면 상속되서 사용되는 메소드.
게임 캐릭터로 예를 들면 캐릭터가 있고 무기가 있을 때
무기가 캐릭터의 능력치에 영향을 많이 받고 내장 데이터를 가져다 쓸 땐 템플릿 메소드 패턴.
부모의 것을 거의 몰라도 되면 전략 객체 패턴
부모의 것을 많이 알아야 되면 템플릿 메소드 패턴
visitor 패턴은 기본적으로 전략 객체 패턴.
visitor는 순회하는 recursive 안에서 역할을 수행함, 복잡한 데이터를 순회하는 사이에서 순회역할을 외부에 위임한다면
visitor라고 할 수 있음!
'FrontEnd > CodeSpitz 강의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스피츠 80 layering (0) | 2019.02.19 |
---|---|
코드스피츠 80 디자인패턴 스터디 - 1 (0) | 2019.02.12 |
6주차 (0) | 2018.12.12 |
3주차 (0) | 2018.11.21 |
디자인패턴; 1회 (0) | 2018.11.07 |
댓글